유네스코와 OECD lifelong education 정책의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6:53
본문
Download : 유네스코와 OECD 평생교육정책의 시.hwp
UESCO와 OECD의 lifelong education 정책동향을 연구한 논문 (이희수,2001)에서는 다음과 같이 analysis(분석) 하고 있다
유네스코와 OECD lifelong education 정책의 시사점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은 평생교육의 양대 산맥인 유네스코와 OECD 평생학습 정책과 전략(strategy)은 오늘날 전세계 평생교육계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UESCO와 OECD의 평생교육 정책동향을 연구한 논문 (이희수,2001)에서는 다음과 같이 分析(분석)하고 있다. 순환교육은 평생학습 戰略이라기보다는 학습이 일어나도록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교육 戰略이며, OECD의 태생적 본능인 생산성 향상을 주된 목표(目標)로 하는 경제 주의적 접근을 반영하고 있다
UNESCO와 OECD lifelong education 정책의 시사점
UNESCO와 OECD 평생교육정책의 시사점
유네스코가 발족 이념에 맞게 인간주의적, 이상주의적, 민주주의적 통합형 학습사회론을 주장하였다면 OECD는 지속적 경제성장과 고용 증대 및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생애에 따른 교육 기회 재분배 전략(strategy)을 내어놓았다. UESCO와 OECD의 평생교육 정책동향을 연구한 논문 (이희수,2001)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다. 순환교육은 평생학습 전략(strategy)이라기보다는 학습이 일어나도록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교육 전략(strategy)이며, OECD의 태생적 본능인 생산성 향상을 주된 목표(goal)로 하는 경제 주의적 접근을 반영하고 있다.
순서





유네스코와 OECD 평생교육정책의 시사점
유네스코가 1960년대 교육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strategy)으로 다소 낭만적인 [존재를 위한 학습]을 내놓았다면 OECD는 1960년대에 OECD내부에 전개되었던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槪念)적 논의들을 모아서 다소 현실적인 평생학습 전략(strategy)인 <순환교육>을 1973년에 발표하였다.
설명
UNESCO와 OECD 평생교육정책의 시사점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은 평생교육의 양대 산맥인 유네스코와 OECD 평생학습 정책과 전략은 오늘날 전세계 평생교육계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유네스코가 1960년대 교육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소 낭만적인 [존재를 위한 학습]을 내놓았다면 OECD는 1960년대에 OECD내부에 전개되었던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들을 모아서 다소 현실적인 평생학습 전략인 <순환교육>을 1973년에 발표하였다.
레포트 > 기타
유네스코가 1960년대 교육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戰略으로 다소 낭만적인 [존재를 위한 학습]을 내놓았다면 OECD는 1960년대에 OECD내부에 전개되었던 lifelong education 에 대한 concept(개념)적 논의들을 모아서 다소 현실적인 평생학습 戰略인 <순환교육>을 1973년에 발표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은 lifelong education 의 양대 산맥인 유네스코와 OECD 평생학습 정책과 戰略은 오늘날 전세계 lifelong education 계의 theory(이론)과 실천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유네스코가 발족 이념에 맞게 인간주의적, 이상주의적, 민주주의적 통합형 학습사회론을 주장하였다면 OECD는 지속적 경제성장과 고용 증대 및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생애에 따른 교육 기회 재분배 전략을 내어놓았다.
Download : 유네스코와 OECD 평생교육정책의 시.hwp( 66 )
유네스코가 발족 이념에 맞게 인간주의적, 이상주의적, 민주주의적 통합형 학습사회론을 주장하였다면 OECD는 지속적 경제성장과 고용 증대 및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생애에 따른 교육 기회 재분배 戰略을 내어놓았다. 순환교육은 평생학습 전략이라기보다는 학습이 일어나도록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교육 전략이며, OECD의 태생적 본능인 생산성 향상을 주된 목표로 하는 경제 주의적 접근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