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歷史) 기말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1:47
본문
Download : 20201_기말_국문4_우리말의역사.pdf
② 무조건 alteration(변화)
① 국어의 계통과 형성 구명
③ 비교연구: 시대가 다른 문헌을 비교해 음운, 어휘, 문법의 발달 확인
(2) 유추
③ 어휘뿐 아니라 특수한 경우 음운체계까지 alteration(변화) 를 줌
순서
이미 존재하는 어떤 유형을 본받아서 어떤 문법형태가 새로이 만들어지는 alteration(변화) 를 입는 것
① 조건alteration(변화) ┬ 어떤 음의 alteration(변화) 가 그 인접음의 influence(영향)에 의해서 설명(說明)되는 경우
국어가 겪어온 모든 alteration(변화)
제1장 국어사의 연구방법
제9장 후기 중세국어(2)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제15장 현대국어
(3) 문법체계의 alteration(변화)
우리말의역사,방통대우리말의역사,방송대우리말의역사,우리말의역사시험,우리말의역사요약,우리말의역사기말시험
- 중략 -
방송통신 > 기말시험
└ 종류: 동화, 이화(붚 → 북)
Download : 20201_기말_국문4_우리말의역사.pdf( 66 )
① 내적재구: 어떤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암시에 근거해 그 이전의 상태를 재구성
② 나라와 나라 사이뿐 아니라 방언들 사이에서도 이루어짐
(4) 어휘체계의 alteration(변화) - 차용어
(1) 음운alteration(변화)
제12장 후기 중세국어(5)
※ 문자체계의 차이보다 음운체계의 alteration(변화) 에 관심多
제2장 국어의 계통
설명
제14장 근대국어(2)
제1장 국어사의 연구방법
※ 국어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 방법론: 歷史언어학(통시언어학)
1. 국어사의 연구 목적과 대상
(1) 목적
(2) 대상
제8장 후기 중세국어(1)
제6장 전기 중세국어(1)
① 주된 공급원은 중국(中國)이고, 중세에 몽고어로부터 많은 어휘 차용
2020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歷史)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11장 후기중세 국어(4)
제5장 고대국어
2. 연구방법
3. 언어alteration(변화) 의 유형과 국어의 alteration(변화)
제3강 국어의 형성
② 음운, 어휘, 문법상의 alteration(변화) 규칙 밝힘
제7장 전기 중세국어(2)
제13장 근대국어 (1)
제4장 문자체계
제1장 국어사의 연구방법 제2장 국어의 계통 제3강 국어의 형성 제4장 문자체계 제5장 고대국어 제6장 전기 중세국어(1) 제7장 전기 중세국어(2) 제8장 후기 중세국어(1) 제9장 후기 중세국어(2) 제10장 후기중세 국어(3) 제11장 후기중세 국어(4) 제12장 후기 중세국어(5) 제13장 근대국어 (1) 제14장 근대국어(2) 제15장 현대국어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어떤 문법 범주가 없어지거나, 새로운 문법범주가 생기는 것, 문법 범주는 그대로 있으면서 그것을 나타내는 형태가 바뀌는 것
제10장 후기중세 국어(3)
② 방언학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