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한국의 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15
본문
Download : 한.hwp
1. 한국의 활자
한국활자의전망 목활자본과금속활자본의식별법 한국의활자 / (한국활자의 전망)
한국의 활자
고려 고종 14년(1227년)부터 10년간에 걸쳐 최윤의(崔允儀) 찬(撰) 「고금상정예문(古今祥定禮文)」 50권 28본(本)을 동활자(銅活字)로 인쇄했다고 이상국 후집(李相國後集) 「신서상정예문(新序祥定禮文)」 발문에 기록되어 있으나 남아 있는 현물이 없어서 설득력이 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금속 활자 인쇄 처음 의 시기를 1234년이라 하는 것은 여기에서 비롯되고 있다.
한국활자의전망 목활자본과금속활자본의식별법 한국의활자 / (한국활자의 전망)





4. 한국활자의 전망
한국활자의전망 목활자본과금속활자본의식별법 한국의활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한글활자본
Download : 한.hwp( 46 )
2. 목활자본과 금속활자본의 식별법
설명
1) 상정예문
순서
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보다 약 200년 앞서 있는 것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